본문 바로가기
⊙-⊙ Culture/⊙-⊙ Art

2012년 박노해 티베트 사진전 <남김없이 피고지고> / 부암동 라카페 갤러리

by PROZONE 2014. 8. 2.



2012년 12월.
부암동 라카페 갤러리에서 열린 시인 박노해의 티베트 사진전 <남김없이 피고지고> 2012.11.02~2013.2.27



비영리 사회단체 나눔문화 건물의 왼쪽은 라카페, 오른쪽은 라카페 갤러리.


라카페 갤러리에서 열렸던 박노래의 사진전들.
2012년 11월 - 티베트 사진전 <남김없이 피고지고>
2012년 8월 - 버마 사진전 <노래하는 호수>
2012년 5월 - 파키스탄 히말라야 사진전 <구름이 머무는 마을>


시인 박노해

박노해 약력
1957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16세 때 상경하여 낮에는 노동자로 학비를 벌고 밤에는 선린상고(야간)을 다녔다. 1984년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을 출간했다.

군사독재정권의 감시를 피해 사용한 '박노해'라는 필명은 '박해받는 노동자의 해방'이라는 뜻으로, 스스로 생을 두고 결단한 이번 생의 이름이었다. 이때부터 '얼굴 없는 시인'으로 알려졌다. 100만 부 가까이 발간된 '노동의 새벽'은 당시 '잊혀진 계급'이던 천만 노동자의 목소리가 되었고, 젊은 대학생들을 노동현장으로 뛰어들게 하면서 한국사회와 문단을 충격으로 뒤흔들었다.

그의 시는 87년 '6월 민주항쟁'의 승리를 지펴낸 하나의 불꽃이 되어, '시의 힘'이 무엇인지를 역사 속에 보여준 생생한 사례가 되었다. 1989년 한국에서 사회주의를 처음 공개적으로 천명한 '남한사회주의 노동자동맹(사노맹)'을 결성했다. 군부독재 하에서 7년 여 수배생활 끝에 1991년 체포, 참혹한 고문 후 사형이 구형되고 무기징역형에 처해졌다. 옥중에서 1993년 두 번째 시집 '참된 시작'과 1997년 '사람만이 희망이다'를 출간했다. 1998년 7년 6개월의 수감 끝에 석방되었다.

이후 민주화운동유공자로 복권되었으나 국가보상금을 거부했다. "과거를 팔아 오늘을 살지 않겠다"며 스스로 사회적 발언을 금한 채, 2000년 '생명 평화 나눔'을 기치로 한 사회운동단체 '나눔문화'(www.nanum.com)를 설립했다. 2003년 이라크 전쟁터에 뛰어들면서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중남미 등 가난과 분쟁 현장에서 평화활동을 이어왔다. 낡은 흑백 필름 카메라로 기록해온 사진을 모아, 2010년 첫 사진전 '라 광야'展과 '나 거기에 그들처럼'展(세종문화회관)을 열었다. 국내외 현장에서 쓴 304편의 시를 엮어 12년 만의 신작 시집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를 출간했다. 오늘도 국경 너머 인류의 고통과 슬픔을 끌어 안고, 세계 곳곳에서 자급자립하는 삶의 공동체인 '나눔농부마을' 을 준비하며 새로운 사상과 실천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출처: 박노해 사진에세이 티베트에서 인디아까지 다른 길 / 느린걸음